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자바
- 별5개
- 리눅스
- 개발
- 재밌당
- Git
- 코틀린
- Eclipse
- android studio
- 안드로이드스튜디오
- error
- oracle
- AndroidStudio
- 개발자
- 오류해결
- 오라클
- JavaScript
- 공부
- GitHub
- 친구랑
- 3박4일
- db
- 도쿄
- Java
- kotlin
- 안드로이드
- 1박2일
- 자바스크립트
- 깃허브
- Android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유닉스 (2)
dev_eunz

문득 로그확인을 위해서 서버를 모니터링하게 되었는데, 리눅스 서버 내 로그가 전부 깨져서 나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. 로그가 깨질 때에 쓰는 방법을 알아본다. 1. 세션을 생성한다. 2. 레지스트리편집기 실행 ( 윈도우 : 윈도우버튼 -> 검색창에 regidit ) 3. HKEY_CURRNET_USER > Software > Simon Tatham > Putty > Session > 생성한 세션명 4. FontCharSet 5. 10진수 > 129 / 16진수 > 81 6. pUTTY 접속시, 생성한 세션 > 로드 누른 후 접속. 7. 완성 !
IT
2022. 6. 15. 23:42

리눅스/유닉스 서버에서 crontab을 사용하게 되면, 상당히 편리하다. crontab은 원하는 시간에 맞추어 설정해둔 프로그램(배치, 자바파일 등)을 돌려준다. 현재 하는 업무에서 해당 작업이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. crontab에 등록된 작업을 보려면 crontab -l 작업 내용을 편집하려면 crontab -e 분 시 일 월 요일 파일 순으로 작성하면 된다. ex) 00 18 * * * /app/test > 매일매일 오후 6시마다 test 라는 파일을 실행 * => 모든 시간 ( 시 의 경우 -> 1 ~ 24 ) # => 주석처리 작업 내용 편집이 끝났다면 "ESC" 키를 누른 후, ":wq!" + "Enter"
IT
2021. 6. 10. 18:51